원문) 천수경 절차 千手經節次
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나모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개경게 開經偈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隅 我今聞見得受持 願解如來眞實意
무상심심한 미묘한 법을 백천만겁이라도 만나기 어려움을
내 이제 듣고 보고 받아 갖어 여래의 진실한 뜻을 알기를 원합니다.
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옴 아라남 아라다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尼 啓請
계청은 열어서 청한다는 말이다.
계수관음 대비주 원력홍심 상호신 稽首觀音 大悲呪 願力洪深 相好身
관세음보살 대비심대다라니에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오니
원력이 넓고 깊으신 상호의 몸이시여
천비장엄 보호지 천안광명 변관조 千臂莊嚴 普護持 千眼光明 遍觀照
일천의 팔을 장엄하사 일체 중생을 널리 호지(護持)하시고
일천의 눈으로 두루 비추어 보시며
진실어중 선밀어 무위심내 기비심 眞實語中 宣密語 無爲心內 起悲心
진실한 말씀 가운데에 비밀한 말씀을 베푸시고
생멸 없는 마음 안에 중생이 생사에 윤전(윤회)함을 보시고 슬픈 마음을 일으키시니
속령만족 제희구 영사멸제 제죄업 速令滿足 諸希求 永使除 諸罪業
속히 하야금 모든 바라고 구하고 생각함을 만족케 하시고
영히 하야금 모든 죄업을 멸제케 하시며
천룡중성 동자호 백천삼매 돈훈수 天龍衆聖 同慈護 百千三昧 頓薰修
하늘과 용과 모든 성현께서 한가지 자비심으로 호위하시며
백천 가지 삼매를 곧 닦아 익히게 하시니
수지신시 광명당 수지심시 신통장 受持身是 光明幢 受持心是 神通藏
받아 지니면 이 몸이 광명 깃대요
받아 지니면 이 마음이 신통을 감추었으며
세척진로 원제해 초증보리 방편문 洗滌塵勞 願濟海 超證菩提 方便門
중생의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 육진(六塵)의 망상(妄想)을 씻어버리고, 괴로움의 바다를 건너기를 원하며,
보리(깨달음)를 증득하여 뛰어넘는 방편의 문이니라.
아금칭송 서귀의 소원종심 실원만 我今稱誦 誓歸依 所願從心 悉圓滿
내 이제 일컬어 외우며 맹세코 귀의(歸依)하야
원하는 바 마음 그대로(을 쫓아) 모두 원만하여지리라.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속지 일체법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速知 一切法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나의 명을 돌아 의지하나니,
내 속히 일체법 알기를 원함이요.
" 나무는 귀의(歸依)요, 귀의는 모든 보살께 나의 명(命)을 돌아 의지하여 공경(恭敬)한다는 말이라."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조득 지혜안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早得 智慧眼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일즉이 지혜에 눈을 얻기 원함이요.
"지혜라는 말은 성인(聖人)의 마음의 눈이니 지혜의 눈이라야 사정(邪正)을 분석(分釋)하며 성불(成佛)을 하나니라."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속도 일체중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速度 一切衆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속히 일체 중생을 제도(濟度)하기를 원함이요.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조득 선방편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早得 善方便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일즉이 한 선방편을 얻기를 원함이요.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속승 반야선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速乘 般若船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속히 지혜의 배로 중생의 괴로운 바다를 건너기를 원하며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조득 월고해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早得 越苦海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속히 지혜의 배로 중생의 괴로운 바다를 건너기를 원하며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속득 계족도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速得 戒足道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속히 계행(戒行)이 족한 도(道)를 얻기를 원하며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조등 원적산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早登 圓寂山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일즉이 원적산에 오르기를 원하며.
"원적산은 열반산(涅槃山)이라는 말이니 불생불멸지요 청정한 도리라."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속회 무위사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速會 無爲舍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 속히 자연한 각성(覺性) 자리에 모이기를 원하며
"무위사는 무위집이라, 곧 위 없는 보리(菩提)의 다른 이름이니 보리는 자연한 각성이라는 말이라."
나무대비 관세음 원아조동 법성신 南無大悲 觀世音 願我早同 法性身
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야,
내가 일즉이 법성신과 한가지하기를 원하며,
"화엄경(華嚴經)에 이르기를 대법왕(大法王)은 오직 일법(一法)이라 하시고, 열반경(涅槃經)에 이르시되 한갓 바른 성품을 인(因)하였다 하시였나니라."
아약향도산 도산자최절
我若向刀山 刀山自折
내가 만일 도산지옥을 향하면
도산지옥이 스스로 꺾어지고
아약향화탕 화탕자소멸
我若向火湯 火湯自消
내가 만일 화탕지옥을 향하면
화탕지옥이 스스로 소멸하며
아약향지옥 지옥자고갈
我若向地獄 地獄自枯渴
내가 만약 지옥을 향하면
지옥이 스스로 말라 없어지며
아약향아귀 아귀자포만
我若向餓鬼 餓鬼自飽滿
내 만일 아귀에 향하면
아귀가 스스로 배부르며
아약향수라 악심자조복
我若向修 惡心自調伏
내 만일 수라에 향하면
악한 마음을 조복하고
아약향축생 자득대지혜
我若向蓄生 自得大智慧
내 만일 축생에 향하면
스스로 큰 지혜를 얻으리라.
나무관세음보살마하살 南無觀世音菩薩摩訶薩
나무대세지보살마하살 南無大勢至菩薩摩訶薩
나무천수보살마하살 南無千手菩薩摩訶薩
나무여의륜보살마하살 南無如意輪菩薩摩訶薩
나무대륜보살마하살 南無大輪菩薩摩訶薩
나무관자재보살마하살 南無觀自在菩薩摩訶薩
나무정취보살마하살 南無正趣菩薩摩訶薩
나무만월보살마하살 南無滿月菩薩摩訶薩
나무수월보살마하살 南無水月菩薩摩訶薩
나무군다리보살마하살 南無軍茶利菩薩摩訶薩
나무십일면보살마하살 南無十一面菩薩摩訶薩
나무제대보살마하살 南無諸大菩薩摩訶薩
나무본사아미타불 南無本師阿彌陀佛 (3편)
신묘장구대다라니 神妙章句大陀羅尼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사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슈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바바말아 미슈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나례 사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예혜혜 로계 사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사미 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매다라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시따야 사바하 마하 시따야 사바하 싯다유예 사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상카 섭나네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라 구타 다라야 사바하 바마 사간타 니사 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먀가라 잘마 니바 사나야 사바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사바라야 사바하 (3편)
사방찬 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 이쇄남방득청량
一灑東方潔道場 二灑南方得淸凉
한 번 동방에 뿌리면 도량이 조촐히 청정하고
두 번 남방에 뿌리면 청량함을 얻나니라.
"뿌린다는 말은 관세음보살님께옵서 항상 중생을 자비(慈悲)로 이익하게 하사 버들가지로 감로수(甘露水)를 뿌리여 중생의 번뇌망상(煩惱妄想)을 씻어 버려 주시며 세계(世界)에 더러운 티끌을 청정히하야주심 이니라."
삼쇄서방구정토 사쇄북방영안강
三灑西方俱淨土 四灑北方永安康
세 번 서방에 뿌리면 정토를 갖추었고
네 번 북방에 뿌리면 영(원)히 (편)안(건)강하니라.
엄정게 嚴淨偈
도량청정무하예 삼보천룡강차지
道場淸淨無瑕穢 三寶天龍降此地
도량이 청정하여 하예(더러운 티끌)가 없음에
삼보(불법승)와 천룡이 이 땅에 강림하시며.
아금지송묘진언 원사자비밀가호
我今持誦妙眞言 願賜慈悲密加護
내 이제 미묘한 진언을 갖어 외우나니
원컨대 자비로 비밀히 가호하여 주옵소서.
참회게 懺悔偈
아석소조제악업 개유무시탐진치
我昔所造諸惡業 皆有無始貪瞋癡
내 예로부터 지은바 악업은
다 무시이래에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삼독악심(三毒惡心)으로 말미암은 것이며
종신구의지소생 일체아금개참회
從身口意之所生 一切我今皆懺悔
몸과 입과 뜻으로 쫓아 난바라.
일체를 내 이제 다 전에 잘못된 죄를 뉘우쳐 드러내며 이제로부터 다시 죄를 짓지 아니하리다.(참회)
참회진언 懺悔眞言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3편)
이 진언은 전에 잘못한 죄의 허물을 참회하는 진언이다.
소원성취진언 所願成就眞言
옴 아모가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훔
보회향진언 普回向眞言
옴 사마라 사마리 미마나 사라마하 자가라 바훔
'경전공부 > 천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음보살영험약초: 중생을 위한 자비심 (천수경 원문中) (0) | 2025.03.18 |
---|---|
천수경으로 만나는 아귀, 수라, 축생의 세계와 구원 (0) | 2025.03.17 |
천수경 서문: 무애대비심대다라니의 힘 (원문中)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