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

기천 수행, 몸과 마음의 조화를 통해 삶을 새롭게 하다

기천은 우리 민족의 정신과 철학을 담아낸 소중한 유산입니다. 이는 단순히 몸을 움직이는 기술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삶의 본질을 탐구하는 길입니다. 기천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깊은 깨달음과 아름다움을 품고 있으며, 그 속에는 선조들의 지혜와 숨결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행하되 행한다는 생각 없이 행하라 기천의 길은 억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바람이 나뭇가지를 흔들 듯, 물이 바위를 감싸 흐르듯, 몸과 마음이 스스로 움직이고 고요해지는 순간, 그곳에서 비로소 기천의 진정한 의미가 드러납니다. 기천은 의지나 욕망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해야 한다"는 집착에서 벗어나, 동작 그 자체를 즐기며 자연스럽게 흐를 때, 우리는 비로소 수행의 본질에 다가설 수 있습니다. ..

武와 禪/기천 2025.04.03

관세음보살영험약초: 중생을 위한 자비심 (천수경 원문中)

관세음보살영험약초: 중생을 위한 자비심관세음보살님의 영험하심을 간략히 설명하겠다. 『대비심대다라니경』에 이르기를 관세음보살님이 부처님께 말씀하시되, “내가 생각하니 과거(過去) 무량항하사겁(無量恒河沙劫)에 세상에 출현하시어 계시는데 이름이 천광왕정주여래(天光王精住如來)시다. 나를 어여삐 사랑하시고 딱하고 안타깝게 생각하시며 일체 중생을 위하여 이 대비신주(大悲神呪)를 설하시며 금색 손으로 나의 이마를 어루만지며 말씀하시기를, '네가 이 신주를 가져 널리 미래 악세중생을 위하여 큰 이익을 짓게 하라'고 하셨다. 내가 이때 비로소 초지보살(初地菩薩)로 이 신주(神呪)를 들음으로 제8지위(第八地位)에 뛰어오르니 곧 맹세하여 말씀하시기를, '만일 내가 마땅히 오는 세상에 능히 일체 중생을 맡아서 이익 되게 하리..

천수경으로 만나는 아귀, 수라, 축생의 세계와 구원

천수경으로 만나는 아귀, 수라, 축생의 세계와 구원천수경에서 설명하는 아귀(餓鬼), 수라(修羅), 축생(畜生)은 불교 윤회사상의 핵심인 육도(六道) 중 3악도(惡道)에 속합니다. 이들은 중생의 업보(業報)로 인해 태어나는 세계로, 각각의 특징과 원인을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1. 아귀(餓鬼): 끝없는 갈증과 허기의 세계원인 탐욕(貪欲)과 소유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업보. "허환한 마음으로 허환히 지어서 있다 함을 굳게 믿고, 평등한 마음을 쓰지 않고 간탐심(貪瞋心)을 행함".특징신체적 고통 몸은 수미산만큼 크지만 목구멍은 바늘 구멍만 합니다. 모든 물질이 불빛으로 변해 먹거나 마실 수 없어 영원한 굶주림에 시달립니다. "일체 물건이 불빛이 되며, 강과 하수도 불빛이 되어 항상 ..

천수경 서문: 무애대비심대다라니의 힘 (원문中)

천수경 서문: 무애대비심대다라니의 힘『천수경』은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님께서 설하신 경이다. 이 『천수경』의 아홉 가지 제목 가운데 세상 사람이 칭송(稱訟)하는 무애대비심대다라니(無礙大悲心大陀羅尼)는 제이(第二) 명호(名號)로 아홉 가지 제목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이름이다. 『천수경』은 본래 과거 구십구억 항하사(恒河沙) 모든 부처님의 비밀장구(秘密章句)인데 관세음보살님께서 이를 들으시고 환희심을 내시어 천수천안(千手千眼)이 몸에 구족(具足)하고자 발원하시니 즉시 그 발원으로 인하여 몸에 천수천안이 자재구족신통(自在具足神通)하시므로 ‘천수’라 한다. 사실 『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廣大圓滿無礙大悲心大陀羅尼經)』에 이르기를, “이 다라니의 제목을 얻어 듣거나 혹 한번 외우는 소리를 듣거나 외우는 사람을 대..

원문 그대로 본 천수경 (完)

원문) 천수경 절차 千手經節次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나모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개경게 開經偈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隅 我今聞見得受持 願解如來眞實意무상심심한 미묘한 법을 백천만겁이라도 만나기 어려움을내 이제 듣고 보고 받아 갖어 여래의 진실한 뜻을 알기를 원합니다.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옴 아라남 아라다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계청 千手千眼 觀自在菩薩 廣大圓滿 無碍大悲心 大陀尼 啓請계청은 열어서 청한다는 말이다.계수관음 대비주 원력홍심 상호신 稽首觀音 大悲呪 願力洪深 相好身관세음보살 대비심대다라니에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오니원력이 넓고 깊으신 상..

대원경지(大圓鏡智): 순수한 마음의 거울

대원경지(大圓鏡智): 순수한 마음의 거울불교에서 말하는 대원경지(大圓鏡智)는 제8식인 아뢰야식을 전환하여 얻는 무루(無漏)의 지혜입니다. 이는 '큰 거울을 비추어 보는 지혜'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대원경지의 본질대원경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순수한 반영: 아뢰야식은 의식적 사고나 판단 없이 작용합니다. 이는 마치 맑은 거울이 대상을 있는 그대로 비추듯, 모든 경험과 정보를 순수하게 저장하고 반영합니다.선입견 제거: '내 눈의 안경'과 같은 선입견을 벗어나,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봅니다.18계의 순수한 인식: 18계(六根, 六境, 六識)를 조작 없이 있는 그대로 인식합니다.업(業)의 영향 초월: 과거의 경험과 행위로 인해 형성된 업으로 인한 고착화된 인식에서 벗어납니다.대원경지의 의미대원경지는..

평등성지(平等性智): 자기중심에서 평등으로의 전환

평등성지(平等性智): 자기중심에서 평등으로의 전환불교에서 말하는 제7식, 즉 말나식(末那識)은 극도로 자기중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식은:끊임없이 '나'라는 생각에 집착합니다.아집(我執)의 근원이 됩니다.아치(我痴), 아견(我見), 아만(我慢), 아애(我愛)의 4가지 번뇌에 항상 사로잡혀 있습니다.주관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끊임없이 합니다.이러한 제7식의 특성은 우리가 세상을 '나'와 '너'로 나누고, 차별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근본 원인이 됩니다.평등성지(平等性智)는 바로 이 자기중심적인 제7식을 전환하여 얻게 되는 지혜입니다. 이는 '평등한 성품을 갖는 지혜'로, 자신과 타인, 그리고 모든 존재가 평등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평등성지의 실현평등성지를 실현한다는 것은:자타평등(自他平等..

조견과 통찰의 지혜: 묘관찰지의 세계

조견과 통찰의 지혜: 묘관찰지의 세계우리는 매일 수많은 정보와 자극을 접하며 살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의 마음, 특히 제6식인 의식(意識)은 끊임없이 판단하고 분별합니다.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분별심은 때로 우리가 세상의 진실한 모습을 보는 것을 방해합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제6식을 전환하여 얻는 지혜를 묘관찰지(妙觀察智)라고 부릅니다. 묘관찰지는 '묘하여 진실하게 볼 수 있는 경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사물을 보는 것이 아니라, 모든 존재의 실상과 법의 인드라망 세계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조견과 통찰묘관찰지의 핵심은 조견(照見)과 통찰(洞察)입니다.조견: 모든 것을 비추어 보고 있는..

안경을 벗고 세상을 보다: 성소작지의 지혜 (8)

안경을 벗고 세상을 보다: 성소작지의 지혜우리는 매일 오감(五感)을 통해 세상을 경험합니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피부로 느끼는 이 모든 감각들이 우리의 현실을 만들어냅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오감을 통한 인식을 '전5식'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대부분 자신만의 '안경'을 쓰고 세상을 봅니다. 이 안경은 우리의 경험, 선입견, 욕망, 그리고 업(業)으로 만들어집니다. '보는 대로(자신의 안경으로 보고서) 그것이다'라고 단정 짓는 것이 바로 우리의 일상적인 인식 방식입니다. 이때 우리의 감각기관은 업식(業識)의 도구가 되어 세상을 왜곡되게 인식하게 만듭니다. 그 결과, 우리는 진실한 세상이 아닌, 자신의 편견과 욕망에 의해 왜곡된 세상을 보게 됩니다. 성소작지(..

내면의 옷을 갈아입는 여정: 수행의 의미

수행은 마치 우리 내면의 옷을 갈아입는 것과 같습니다. 낡고 더러워진 옷을 벗어던지고 새롭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듯이, 우리는 수행을 통해 오래된 습관과 생각들을 버리고 새로운 관점과 태도를 받아들입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개인의 변화에 그치지 않습니다. 우리가 내면의 옷을 갈아입을 때마다, 그 영향은 주변 사람들에게도 미칩니다. 더 깨끗하고 밝은 에너지를 발산하게 되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개선되고 더 나아가 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행은 또한 우리 마음의 옷을 '빨아 입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지속적인 노력과 실천을 통해 우리의 마음과 행동은 더욱 깨끗하고 건강해집니다. 이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고통을 덜어내고, 모든 존재에 대한 자비심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국, ..

修鍊法 2025.02.23